러셀 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셀 제도는 솔로몬 제도의 섬들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군의 점령지였으며 바니카 섬 해군 기지가 건설되었다. 현재도 당시의 흔적과 불발탄이 남아있으며, 얀디나 경찰서에서 민족적 긴장이 시작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 섬에는 라부칼레베어를 사용하는 라부칼인과 티코피아 출신 폴리네시아인이 거주하며, 얀디나에는 솔로몬 제도의 여러 지역에서 온 사람들이 농업에 종사한다. 러셀 제도에는 학교와 리조트 등의 시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러셀 제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국가 | 솔로몬 제도 |
행정 구역 | 중앙주 |
최대 도시 | 얀디나 |
면적 | 48km² |
![]() |
2. 역사
1943년 3월, 제2차 세계 대전의 솔로몬 제도 전역 중 미국의 군사 작전의 일환으로 미군이 러셀 제도를 점령했다. 미 해군은 바니카 섬 해군 기지를 건설했다.[5][6] [1]
1990년대 말, 얀디나 경찰서는 민족 갈등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의 현장이 되었는데, 한 무리의 남성들이 무기고를 습격하여 무기와 탄약을 훔쳤다. 이와 관련된 단체는 과달카날 혁명군으로 알려졌고, 나중에는 이사타부 자유 운동으로 알려졌다.[8] 얀디나는 RAMSI의 주둔지였다.[9]
2. 1. 제2차 세계 대전
1943년 3월, 제2차 세계 대전의 솔로몬 제도 전역 중 미국의 군사 작전의 일환으로, 미군이 러셀 제도를 점령하였다. 1943년 미국 해군은 바니카 섬 해군 기지를 건설했다.[5][6] [1] 콘크리트 슬래브와 대형 금속 창고 등 당시 미군 주둔 흔적이 여전히 남아 있다. 불발탄이 지뢰와 도약 대인 지뢰를 포함하여 남겨졌다.[10] 부두 밖에서는 바지선 두 척이 침몰했다.[7]2. 2. 민족 갈등과 RAMSI 주둔
1990년대 말, 얀디나 경찰서는 민족 갈등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의 현장이 되었는데, 한 무리의 남성들이 무기고를 습격하여 강력한 무기와 탄약을 훔쳤다. 이와 관련된 단체는 과달카날 혁명군으로 알려졌고, 나중에는 이사타부 자유 운동으로 알려졌다.[8]얀디나는 RAMSI의 주둔지였다.[9]
3. 지리
서부 섬 파부부의 북쪽에는 마네 섬, 레루 섬, 마룰라온 섬, 하나위시 섬이 있다. 파부부의 남쪽에는 볼로카 섬과 알로칸 섬이 있다. 음바니카의 동쪽에는 룬 섬, 텔린 섬, 모이에 섬, 라우무안 섬이 있다. 음바니카의 북동쪽에는 코에무룬 섬과 카우카우 섬이 있다. 큰 섬의 다른 지역으로는 로키올레메와 피피살라가 있다. 얀디나 외에 파부부에는 수운도 있다.[1]
섬에는 코코넛 농장이 있으며, 얀디나에는 코프라 제유소가 있다. 또한 얀디나에는 상점, 우체국, 공항을 포함한 기본적인 서비스가 있다.[1] Lavukaleve language영어를 사용하는 라브칼인(Lavukal)이 살고 있다. 또한 이곳에는 티코피아 섬에서 재이주한 폴리네시아인이 정착해 살고 있다. 그들은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인 파부부의 서쪽에 위치한 누쿠페로(Nukufero)에 살고 있다. 게다가 농장에서 일하기 위해 솔로몬 제도 전역에서 사람들이 얀디나로 몰려든다. 그들은 섬의 모국어 외에도 솔로몬 제도의 공용어인 피진어를 사용한다.[1]
4. 주민
러셀 제도에는 라부칼 사람들이 거주하며, 이들은 라부칼레베어를 사용한다.[3] 파부부 섬 서쪽의 누쿠페로에는 티코피아 출신 폴리네시아인 정착촌이 있다.[1] 얀디나에는 솔로몬 제도의 다른 지역 출신 사람들도 농장에서 일하며, 이들은 모국어 외에도 솔로몬 아일랜드 피진어를 사용한다.
4. 1. 라부칼인
섬에는 코코넛 농장이 있으며, 얀디나에는 코프라 제유소가 있다. 또한 얀디나에는 상점, 우체국, 공항을 포함한 기본적인 서비스가 있다. 라부칼레베어( Lavukaleve language영어)를 사용하는 라부칼인(Lavukal)이 살고 있다. 또한 이곳에는 티코피아 섬에서 재이주한 폴리네시아인이 정착해 살고 있다. 그들은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인 파부부 섬( Pavuvu영어)의 서쪽에 위치한 누쿠페로(Nukufero)에 살고 있다. 게다가 농장에서 일하기 위해 솔로몬 제도 전역에서 사람들이 얀디나로 몰려든다. 그들은 섬의 모국어 외에도 솔로몬 제도의 공용어인 피진어를 사용한다.4. 2. 티코피아인
파부부 섬 서쪽에 있는 누쿠페로에는 티코피아 출신 폴리네시아인 정착촌이 있다.[1] 1956년 레버 태평양 농장 회사는 이들의 재정착을 위해 80acre를 기증했고, 1960년대에는 125acre를 추가로 기증했다. 이 토지는 각 가족당 4acre 부지로 분할되었다. 1965년까지 500명의 티코피아 사람들이 그곳으로 이주했다.[4] 1965년 티코피아의 세 번째 족장이었던 테 아리키 타우마코는 누쿠페로를 공식 방문했다.[4]4. 3. 기타
라부칼레베어를 사용하는 라부칼 사람들이 이 섬에 거주한다.[3] 또한 파부부 섬 서쪽에 있는 누쿠페로에 재정착한 티코피아 출신 폴리네시아인 정착촌이 있다.[1] 1956년 레버 태평양 농장 회사는 이들의 재정착을 위해 80acre를 기증했고, 1960년대에는 125acre를 추가로 기증했다. 이 토지는 각 가족당 4acre 부지로 분할되었다. 1965년까지 500명의 티코피아 사람들이 그곳으로 이주했다.[4] 티코피아의 세 번째 족장이었던 테 아리키 타우마코는 1965년 누쿠페로를 공식 방문했다.[4]얀디나에는 솔로몬 제도의 모든 지역에서 온 사람들이 농장에서 일하고 있다. 그들은 모국어 외에도 솔로몬 제도의 솔로몬 아일랜드 피진어인 ''공용어''를 사용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3년에 러셀 제도는 미국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미국군 주둔의 흔적으로 콘크리트 잔해와 큰 금속 저장 창고 등이 현존하고 있다.
얀디나 경찰서는 최근 민족 간 긴장의 시작 지점 중 하나가 되었다. 몇몇 그룹이 무기고를 습격하여 강력한 무기와 탄약을 훔쳐 갔다. 관련된 그룹은 과달카날 혁명군으로 알려졌으며, 이후 이사타부 자유 운동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얀디나에는 RAMSI(솔로몬 제도의 지역 지원 사절단, Regional Assistance Mission to Solomon Islands)가 위치해 있다.
러셀 제도에는 하브나 초등학교와 얀디나 커뮤니티 고등학교가 있다.
5. 시설
한때 얀디나 플랜테이션 리조트는 스쿠버 다이버들을 위한 관광 숙소를 제공했다.[12][13] 2000년 10월에 12개의 객실로 문을 열었다.[14]
섬에는 코코넛 농장이 있으며, 얀디나에는 코프라 제유소가 있다. 또한 얀디나에는 상점, 우체국, 공항을 포함한 기본적인 서비스가 있다. 라브칼레베어를 사용하는 라브칼인(Lavukal)이 살고 있다. 또한 이곳에는 티코피아 섬에서 재이주한 폴리네시아인이 정착해 살고 있다. 그들은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인 파부부 섬의 서쪽에 위치한 누쿠페로(Nukufero)에 살고 있다. 게다가 농장에서 일하기 위해 솔로몬 제도 전역에서 사람들이 얀디나로 몰려든다. 그들은 섬의 모국어 외에도 솔로몬 제도의 공용어인 피진어를 사용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3년에 러셀 제도는 미국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미국군 주둔의 흔적으로 콘크리트 잔해와 큰 금속 저장 창고 등이 현존하고 있다.
얀디나 경찰서는 최근 민족 간 긴장의 시작 지점 중 하나가 되었다. 몇몇 그룹이 무기고를 습격하여 강력한 무기와 탄약을 훔쳐 갔다. 관련된 그룹은 과달카날 혁명군(이후 이사타부 자유 운동)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얀디나에는 RAMSI(솔로몬 제도의 지역 지원 사절단, Regional Assistance Mission to Solomon Islands)가 위치해 있다.
5. 1. 교육 시설
러셀 제도에는 하부나 초등학교와 얀디나 커뮤니티 고등학교가 있다.[10] 2013년 호주 해군의 HMAS 타라칸 (L 129) 소속원들이 고등학교 교실을 재건했으며, 당시 교장은 어거스틴 올리부마였다.[10] 2016년에는 HMAS 다이아몬티나 (M 86)와 HMAS 휴온 (M 82) 소속 수병들이 고등학교를 방문했다.[11]5. 2. 기타 시설
러셀 제도에는 하브나 초등학교와 얀디나 커뮤니티 고등학교가 있다. 2013년 호주 해군의 HMAS 타라칸 (L 129) 소속원들이 고등학교 교실을 재건했다. 당시 교장은 어거스틴 올리부마였다.[10] HMAS 다이아몬티나 (M 86)와 HMAS 휴온 (M 82) 소속 수병들이 2016년 고등학교를 방문했다.[11]한때 얀디나 플랜테이션 리조트는 스쿠버 다이버들을 위한 관광 숙소를 제공했다.[12][13] 2000년 10월에 12개의 객실로 문을 열었다.[14]
섬에는 코코넛 농장이 있으며, 얀디나에는 코프라 제유소가 있다. 또한 얀디나에는 상점, 우체국, 공항을 포함한 기본적인 서비스가 있다. 라브칼레베어를 사용하는 라브칼인(Lavukal)이 살고 있다. 또한 이곳에는 티코피아 섬에서 재이주한 폴리네시아인이 정착해 살고 있다. 그들은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인 파부부 섬의 서쪽에 위치한 누쿠페로(Nukufero)에 살고 있다. 게다가 농장에서 일하기 위해 솔로몬 제도 전역에서 사람들이 얀디나로 몰려든다. 그들은 섬의 모국어 외에도 솔로몬 제도의 공용어인 피진어를 사용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3년에 러셀 제도는 미국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미국군 주둔의 흔적으로 콘크리트 잔해와 큰 금속 저장 창고 등이 현존하고 있다.
얀디나 경찰서는 최근 민족 간 긴장의 시작 지점 중 하나가 되었다. 몇몇 그룹이 무기고를 습격하여 강력한 무기와 탄약을 훔쳐 갔다. 관련된 그룹은 과달카날 혁명군(이후 이사타부 자유 운동)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얀디나에는 RAMSI(솔로몬 제도의 지역 지원 사절단, Regional Assistance Mission to Solomon Islands)가 위치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ussell Islands - Place
http://www.solomonen[...]
2017-01-15
[2]
웹사이트
Levers Pacific Plantations Pty. Ltd. - Corporate entry
http://www.solomonen[...]
2013
[3]
웹사이트
The Russel Islands
http://www.yandinare[...]
Yandina Resort
[4]
웹사이트
Tikopia and Santa Ana Resettlement Scheme - Concept - Solomon Islands Encyclopaedia, 1893-1978
http://www.solomonen[...]
2017-01-15
[5]
웹사이트
The History Behind The Russell Islands During WWII
https://masterliveab[...]
2022-04-11
[6]
웹사이트
HyperWar: Building the Navy's Bases in World War II [Chapter 25]
https://www.ibiblio.[...]
[7]
웹사이트
Diving
http://www.yandinare[...]
[8]
문서
Violence and the Guadalcanal Uprising in Solomon Islands - a militants view
http://exkiap.net/ar[...]
[9]
웹사이트
Regional Assistance Mission to Solomon Islands FACT SHEET
http://www.dfat.gov.[...]
DFAT
2004-11-01
[10]
웹사이트
Operation RENDER SAFE rebuilds Yandina school
http://news.navy.gov[...]
Royal Australian Navy
2013-11-20
[11]
웹사이트
Lesson in soccer for Huon
http://news.navy.gov[...]
Royal Australian Navy
2016-10-15
[12]
웹사이트
Gizo / Tauchspots / DiveWorld - uemis DiveWorld
http://www.uemis.org[...]
2017-01-15
[13]
웹사이트
Yandina Resort
http://www.yandinare[...]
[14]
웹사이트
Resort Facilities
http://www.yandina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